[탈당 先導-^+김용태-새누리 20명-몰아내야] > 자유

본문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검색

자유

자유

[탈당 先導-^+김용태-새누리 20명-몰아내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 댓글 0건 조회 531회 작성일 2016-12-08 05:50

본문





김용태 “새누리 ‘20’ 몰아내






해체해야






실패하면 정치 떠나겠다









등록 :2016-12-07 05:01





정치BAR_‘선도탈당’ 김용태 인터뷰










6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김용태 무소속 의원이 한겨레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김봉규 선임기자 bong9@hani.co.kr
6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김용태 무소속 의원이 한겨레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김봉규 선임기자 bong9@hani.co.kr



김용태(48·무소속·3선·서울 양천을) 의원이 남경필 경기도지사와 함께 “박근혜 탄핵”과 “새로운 보수”를 외치며 새누리당을 탈당한 건 지난달 22일이다. 그 뒤 2주, 함께 탈당을 논의하던 비박계 의원들은 새누리당에 남아 탄핵을 놓고 갈대처럼 흔들리다 190만(5차), 232만(6차) 촛불까지 지켜본 뒤에야 겨우 전열을 가다듬었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을 사흘 앞둔 6일 국회 의원회관 사무실에서 만난 김 의원은 “지금은 박근혜 대통령이 무슨 말을 하더라도 오로지 9일 탄핵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문’(呪文)처럼 말했다. 탄핵 정국에서 우왕좌왕한 야권과 비박계에 대해서도 “할 말은 많지만 일단 탄핵부터 하고 보자”며 자제했다. 그가 내건 ‘새누리당 해체’와 ‘새로운 보수의 중심 세우기’의 첫 단계가 전적으로 탄핵이기 때문이다.

“탈당해줘 고맙다” 지역구민이 따라준 영광의 술 한잔

Q 탈당한 뒤 어떻게 지내고 있나?
A “결단하기까지가 어려웠지, 결단한 이후에는 이렇게 마음이 편해질 수 있나 싶다. 어제 보일러설비협회 양천지부 송년회에 인사드리러 갔더니 ‘우리 동네 국회의원이 이런 결심을 해줘서 참 고맙다’며 술을 따라주더라. 정치하면서 이렇게 영광스러운 자리가 있었나 싶었다. 또 한편으로는 박 대통령 탄핵에 비박계가 흔들리는 것 같아서 마음이 급하기도 하다.”

Q비박계가 아직도 불안한가?
A “지난주에 비해선 촛불 민심을 수용해야겠다는 생각이 훨씬 강해졌지만, 아직도 다양한 변수가 있을 수 있으니 모든 노력을 다 해야 한다.”

Q어떤 변수가 있나?
A “박 대통령과 그 일파는 끝까지 온갖 사술과 협박을 서슴지 않을 것이다. 박 대통령 한마디에 또 헷갈리면 9일 넘기는 거다. 박 대통령이 퇴진을 하든 말든, 언제 물러나든 그냥 9일에 탄핵하면 된다.”

‘공포와 미련’의 통치에 길든 비박계

Q새누리당 비박계는 숫자로도 128명 중 절반에 가깝다. 적지 않은 숫자인데 왜 이렇게 무기력하게 박 대통령에게 끌려왔을까?
A “박근혜 일파가 만들어낸 ‘공포’와 ‘미련’의 통치 방식에 길들여졌기 때문이다. 공포란 19~20대 총선 공천에서 국회의원으로서의 자존심을 말살시키며 새누리당의 영혼을 거세한 게 대표적이다. ‘내 말 안 들으면 죽는다’는 거다. 국정(역사)교과서나 유승민 사태가 그랬고, 저항한 나나 이재오·정두언 같은 사람들을 공천 살생부에 올렸다. 또 한편으로는 ‘어떻게든 잘 보여야 관직, 당직, 민원 해결에 도움 된다’는 미련을 심었다. 비박들이 여기에 나름의 문제제기를 했지만 결연하게 맞서서 충격을 주거나 굴복시키는 정도까지 못 나간 거다. 일부 저항한 뒤 시간이 지나면 사그라들고, 그럴수록 친박은 더 세졌다. 지난 총선 뒤 친박들이 고개 처박고 있다가 내가 혁신위원장에 내정되자마자 우르르 나서서 무너뜨린 걸 봐라. 그동안 친박이 ‘너 죽고 나 죽자’고 달려들면 비박은 꼼짝도 못한 거다.”

Q9일 탄핵안은 가결될까?
A “당연히 가결된다고 본다. 만약 부결되면 광화문에서 박근혜 퇴진을 요구하던 국민들이 여의도로 오셔서 20대 국회 해산을 요구하는 수준이 아니라 실제 해산까지 이뤄낼 거다. 헌법에는 국회 해산 규정이 없다. 하지만 국민들은 야당에 의원직 사퇴를 요구할 거고, 의원들은 견딜 수가 없을 거다. 국회 재적의원의 과반이 없어지면 국회가 의사진행을 할 수가 없어, 해산되는 거다.”

Q탄핵 정국에서 야당도 욕을 많이 먹었는데.
A“야당 비판은 매우 절제되고 신중해야 한다. 야당도 단일 야당이 아니라 처지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번 사태는 초지일관 법대로 탄핵을 밀고 갔어야 하는데, 하야·퇴진 등 조건을 걸어 정치적 해법과 헌법적 절차를 뒤섞는 바람에 혼선과 시행착오가 있었다. 그럼에도 야당이 여기까지 탄핵 국면을 끌어오는 데 큰 문제가 있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Q탄핵안 가결 뒤에는 어떤 상황이 펼쳐질 걸로 보나?
A “야권은 잘 모르겠고, 새누리당 해체 논의로 가야 한다. 해체는 간단하다. 박근혜의 사당을 만들고 운영하는 데 부역한 이들과 결별하는 것이다. 그들을 출당시키지 못한다면 당을 깨고 나와야 한다. 몰아내도, 분당해도, 새누리당은 해체되는 거다.”

Q출당 대상자들을 꼽아달라.
A “항간에 ‘9적’, ‘20적’ 얘기가 있더라. 내가 말하지 않아도 앞으로 국민들께서 한 사람 한 사람 다 찾아낼 거다. 박근핵닷컴처럼, 진박감별닷컴이 나오지 않겠나.”

보수의 정권 재창출? 염치 없는 행동

Q부역자 축출에 성공하면 새누리당으로 돌아갈 건가?
A “친박과 완전히 결별하고 새로운 당을 만든다면 그 논의에 동참하고 그들과 하나가 될 것이다. 하지만 새누리당을 해체하고 새로운 보수의 중심을 세우는 데 실패한다면 나는 정치 무대에서 퇴장할 거다. 야당에 입당하는 일도 있을 수 없다.”

Q‘제3지대’ 세력과도 함께할 건가?
A “제3지대라면 정의화 전 의장, 이재오 전 의원, 그리고 보수 시민사회의 움직임 등이 있을 것이다. 국민의당은 여기에 들어오지 않으려 할 것이고. 새로운 보수의 가치에 동의하는 이들이 다 합쳐야 한다.”

Q곧 대선 국면이 펼쳐질 텐데, 그 ‘새로운 보수’로 정권 재창출을 도모하는 건가?
A “박 대통령과 그 일파가 나라를 이 지경으로 만드는 걸 막지 못했던 새누리당과 이를 방조했던 보수세력이 이 국면에서 정권 재창출을 얘기하는 것은 국민에 대한 도리가 아니고 염치 없는 행동이다. 오로지 자숙하고 참회하고 새누리당 해체 작업에 몰두할 때다.”

Q탄핵 뒤엔 개헌을 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는데.
A “개헌도 염치없는 얘기다. 나도 분권형 대통령제로의 개헌에 찬성하는 개헌론자다. 하지만 국민들이 원하는 건 박 대통령을 탄핵시키고 방조·조력자들을 단죄하라는 거다.”

황준범 기자 jaybee@hani.co.kr

***********************************

^^^^^^^^^^^^^^^^^^^^^^^^^^^^^^^^^^^

남경필·김용태 與 탈당파, 새누리로 복당할까? '제4지대' 창당?



서송희 기자 입력 2016.12.10 18:27 댓글 277
자동요약

박근혜 대통령 탄핵안이 통과된 가운데 10일 남경필 경기도지사, 김용태 의원 등을 중심으로 한 새누리당 탈당파들은 복당에 선을 긋고 창당 논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박 대통령 탄핵을 외치며 새누리당을 떠난 남 지사와 김 의원을 포함해 김상민, 정두언, 정문헌, 이성권 전 의원 등 탈당파들은 '최순실 게이트'를 계기로 국민이 원하는 '합리적 보수'를 위한 창당이 필요하다는 것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인쇄하기
글씨크기 작게 글씨크기 크게
탈당파, '창당'의 길로 보수 새판짜기 나설 듯..제 4지대 구성 본격화
남경필 경기도지사를 비롯한 전 ·현직 새누리당 탈당 의원들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논의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준선, 김상민, 정두언 전 의원, 남경필 경기 지사, 김용태 의원, 정문헌, 이성권 전 의원. 2016.12.4/뉴스1 © News1 손형주 기자

(서울=뉴스1) 서송희 기자 = 박근혜 대통령 탄핵안이 통과된 가운데 10일 남경필 경기도지사, 김용태 의원 등을 중심으로 한 새누리당 탈당파들은 복당에 선을 긋고 창당 논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박 대통령 탄핵을 외치며 새누리당을 떠난 남 지사와 김 의원을 포함해 김상민, 정두언, 정문헌, 이성권 전 의원 등 탈당파들은 '최순실 게이트'를 계기로 국민이 원하는 '합리적 보수'를 위한 창당이 필요하다는 것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탈당파 전·현직 의원들은 1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회동을 예정하고 있는데 이 자리에서도 창당 준비에 대한 논의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김상민 전 의원은 이날 뉴스1과의 통화해서 "이제는 어떤 메시지와 가치, 원칙을 내세우는지가 중요한 시대가 왔다"고 강조했다.

김 전 의원은 "촛불집회에서 '박근혜 퇴진'과 함께 외치는 것이 '새누리당 해체'"라며 "소수 기득권만 대변하는 정치 구조를 벗어던지고 새 집을 짓는 것이 이 시대가 바라는 정신"이라고 말했다.

그는 "새누리당 해체라는 말은 지금 있는 모든 정치 질서와 구조, 가치관의 해체를 말하는 것"이라며 "새로운 토대와 원칙, 새로운 사람을 중심으로 하는 정당을 실현하는 게 필수적이라는 것이 탈당파의 일관된 생각이다"고 설명했다.

여권 대선 잠룡으로 꼽히는 남 지사도 앞서 탈당 기자회견에사 "생명이 다한 새누리당을 역사의 뒷자락으로 밀어낼 것"이라며 "그 자리에 정당다운 정당, 새로운 대안을 만들겠다"고 말한 바 있다.

남 지사는 "야당 측 인사들이 제 3지대를 만들겠다고 하는데 저희는 제 4지대를 만들겠다"고 창당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정계에서 쉽게 예측하고 있는 국민의당과 연합하는 '제 3세력'이 되기보다는 보수적 가치를 우선시하는 합리적 중도를 표방하는 새 길을 개척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민심이 새누리당에 대한 지지를 거두고 있어 친박계와 비주류가 책임공방을 이어가는 과정에서 이탈자들이 탈당파가 추진하는 '제 4지대'에 동참할 가능성도 높아 보인다.

정계 한 관계자는 "여권발 정계 개편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며 "과거 '열린우리당'의 선례와 같이 신당이 자리잡은 이후 보수 주도권을 잡아 탈당-창당-합당 시나리오로 이어질지 관심이 집중된다"고 말했다.

song65@news1.kr

관련 T!P
연재
더보기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047건 14 페이지
자유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3852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72 2017-01-23
3851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12 2017-01-23
3850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60 2016-12-31
3849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53 2016-12-29
3848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54 2016-12-13
3847 65 김진억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32 2016-12-10
열람중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32 2016-12-08
3845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66 2016-11-30
3844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01 2016-11-22
3843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64 2016-11-15
3842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73 2016-11-13
3841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47 2016-11-11
3840 67 김문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74 2016-10-31
3839 36 이계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10 2016-10-26
3838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25 2016-10-25
게시물 검색

34919 대전시 중구 대흥로121번길 8 대전고동창회관 2층 | 회장 : 이왕구
전화 : (042) 257-0005 | 팩스 : (042) 257-0518 | 메일 : daego@daego.kr
Copyright 2001~2024 대전고등학교총동창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