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좌교수] 및 대학-취업 현황 및 대학원생은 노예? > 자유

본문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검색

자유

자유

[석좌교수] 및 대학-취업 현황 및 대학원생은 노예?

페이지 정보

작성자 :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 댓글 0건 조회 3,376회 작성일 2015-04-12 21:37

본문

 
 
 
 
 
 
 

大學院生의 다른 이름 '연구노예'

 

 

 

…"어머니 임종도 못지켰어요"

 
 
 
 
 
 
 
 
국회의원회관서 '대학원생의 눈물' 증언대회 열려
 
 
(서울=뉴스1) 황라현 기자 = 높은 등록금과 학내 인권침해로 고통받는 대학원생들이 1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대학원생들의 현실을 공유하고 고통을 경감하기 위해 정책적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대학원생의 눈물, 고액 등록금과 갑을관계 사각지대 대학원을 말하다'라는 제목으로 열린 이번 간담회는 새정치민주연합 을지로위원회가 주최하고 전국대학원총학생회협의회 등이 참여했다.

이날 기조발제에 나선 황희란 대학교육연구소 연구원은 "대학원생 수가 2014년 기준으로 33만명에 이르는 등 급속도로 늘어났지만 등록금은 2010년 이후 대폭 증가해 특수대학원을 제외한 국립대학원 등록금이 연간 500만원 이상에 이른다"며 "국가장학금 등 지원도 미비해 학생들이 경제적 고통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뉴스1
전국대학원총학생회협의회 소속 회원들이 지난 1월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각 학교 대학원들의 등록금 인상 시도에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News1 신웅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우창 서울대 대학원총학생회 고등교육정책국장도 서울대에서 실시한 대학원 관련 설문조사를 소개하며 대학원의 문제를 크게 ▲경제적 어려움 ▲불확실한 진로 ▲교수-학생 사이 권력관계 ▲학교행정당국의 특정학과에 대한 일방적인 지원축소나 통폐합 결정으로 정리했다.

특히 이 국장은 교수-학생 간 권력관계에 문제를 제기하며 교수로부터 부당한 대우를 받은 대학원생들의 사례를 소개했다.

그는 "'어머니의 임종을 지키러 가보겠다'고 한 연구원에게 '연구에 몰두하라'고 대답한 교수도 있고 남자 대학원생들에게 주말동안 대가 없이 자신의 초등학생 아들을 돌보라고 강요한 교수도 있다"며 "이들은 대부분 학업이나 진로에 불이익을 당할까봐 문제제기를 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열린 증언대회에서는 등록금 부담 고통에 시달리거나 교수에게 부당한 대우를 당한 대학원생들의 생생한 증언이 쏟아졌다.

현재 한 사립대에서 예술이론 석사과정을 밟고 있다는 대학원생 A씨는 "예술계열의 경우 전업작가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대학원 과정이 필수적이어서 대학원에 진학했지만 비싼 교육비와 열악한 작업환경 때문에 회의감이 든다"며 "학자금 대출을 갚고 생활비를 벌기 위해 편의점 아르바이트뿐 아니라 호텔 연회장 서빙을 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그는 "예술작업이 하고 싶어서 대학원까지 들어갔는데 학자금 대출을 갚기 위해서는 붓을 꺾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한국에서는 가진 것이 없으면 예술을 포기해야 하는가 보다"고 말했다.

이공계의 경우도 비슷했다. 한 국공립 대학원에서 이공계열을 전공하는 B씨는 자신을 '연구노예'라고 소개했다.

그는 "하루에 10시간씩 근무하면서 800만원의 비싼 등록금을 지불해야 해 빚을 지면서 연구하는 상황"이라면서도 "학생들의 졸업가능 여부가 교수에게 달려있기 때문에 불만을 토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 모인 국회의원과 전문가들은 해결책으로 ▲등록금 인하, 장학금 지원 확대 등 정부가 경제적 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 ▲지도교수가 부당한 행위를 할 때 외부 인사위원회를 열어 강력하게 처벌할 것 등을 제시했다.
padeok@

[© 뉴스1코리아측에 감사드립니다
 
 
 
******************************
 
 
 
 
 
 
 
 
 
 
********************************
 
 
 
대학 인문계 졸업자 1
 
 
대학 인문계 졸업자 10명 중 4명만 취업
한국일보 10면 TOP 4일전 네이버뉴스
종로학원 대졸자 취업률 분석 결과, 인문계가 42% 가장 낮고 의약·공학계열은 함께 66% 기록 전체로는... 대학, 대학원 이상 졸업자 66만7,056명 가운데 취업자는 33만6,682명(56.2%)이었다. 이는 최근 10년 취업률 54.1%를...
 
 
@+위의 글은
 
각 대학 취업율 및 자연계열 취업 잘되는 학과도 다수 나오니
 
참조 클릭 바랍니다.
 
 
 
*********************
*********************
 
경전철부터 상하수도까
경전철부터 상하수도까지, 최경환식 ‘민영화’ 뜬다
미디어스 3일전
▷한국일보 10면 <대학 인문계 졸업자 10명 중 4명만 취업> 이대혁 기자 청년실업에 대한 또 다른 조사결과가 나왔다. 지난해 전문대 이상 고등교육기관 졸업자의 취업률은 56.2%로 IMF 외환위기 때보다도 낮고, 최근...
취업률 빙하기… IMF
취업률 빙하기… IMF 때보다 심하다
국민일보 11면 TOP 3일전 네이버뉴스
전문대·대학교·대학졸업자취업 여건이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때보다 못하다는 통계가 나왔다. 구직에 성공한 대학 인문계 졸업자10명 중 4명, 공학계열은 10명 중 7명꼴로 전공별 편차도...
[김현주의 일상 톡톡]
[김현주의 일상 톡톡] 인문계 출신 90%가 논다
세계일보 2015.03.16 네이버뉴스
김씨는 “대학 간판이 통하던 시절은 이미 지나간 것... 대졸취업10명 가운데 4명이 비정규직으로 취업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인문계 졸업자의 정규직... 이는 10명 중 6명만 정규직으로 취업하고, 나머지 4명은...
[김기성 기자의 세이머
[김기성 기자의 세이머니] 인문계의 정규직 취업 비율, 왜 낮은가?
TV조선 2015.03.03 네이버뉴스
10명 가운데 4명이 비정규직으로 취업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인문계 졸업자의 정규직 취업률이 낮았는데요. 김 와 함께 얘기 나눠 보겠습니다. 대학을... 10명 중 6명만 정규직에 취업하고 나머지 4명은...
취업도 어려운데… 대졸 취업자 첫 직장 10명 중 4명 비정규직
쿠키뉴스 2015.03.02
사이에 대학을 졸업한 1만8000여 명이 대상이다. 조사 결과 공학계열 대졸 취업자의 정규직 비율은 70.5%였지만 인문계열은 51%, 예체능계는 52.8%로, 인문계와 예체능계의 졸업자 2명 1명은 비정규직으로...
대졸자 첫 일자리 “1
대졸자 첫 일자리 “10명 중 4명은 비정규직”
KBS TV 2015.03.03 네이버뉴스
<앵커 멘트> 대학을 졸업하고 10명 중 4명은 첫 일자리가 비정규직인... 인문계와 예체능계열 대졸자가 첫 비정규직 취업 비율이 높았는데 2명... 2009년 졸업자부터 지금 현재 계속 상승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 임금...
‘삼일절‘ 걱정하는 대
'삼일절' 걱정하는 대졸청년, 13%는 취업 재수
아시아경제 6면 TOP 2015.03.09 네이버뉴스
" 지난해 2월 지방대학인문계열 학과를 졸업한 구모씨(29)는 만... 2010년 대학 졸업자(4년제 일반대학 기준)를 대상으로 1년6개월이 지난... 2010년 4년제 일반대학을 졸업한 취업10명 중 3∼4명취업준비를...
대졸 40% 비정규직 ‘
대졸 40% 비정규직 ‘첫발’…임금 격차도 심해
KBS TV 2015.03.02 네이버뉴스
<앵커 멘트> 대학을 졸업하고..10명 중 4명은 첫 일자리가 비정규직인... 인문계와 예체능계열 대졸자가 첫 비정규직 취업 비율이 높았는데 2명... 2009년 졸업자부터 지금 현재 계속 상승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 임금...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047건 13 페이지
자유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3867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91 2015-02-07
3866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90 2017-08-31
3865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89 2014-12-22
3864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86 2012-03-31
3863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86 2017-05-28
3862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86 2017-12-01
3861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84 2015-04-09
3860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83 2015-02-06
3859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81 2014-10-29
3858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80 2012-03-05
열람중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77 2015-04-12
3856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76 2015-01-20
3855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75 2015-03-13
3854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75 2015-04-08
3853 53 한준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73 2012-12-01
게시물 검색

34919 대전시 중구 대흥로121번길 8 대전고동창회관 2층 | 회장 : 이왕구
전화 : (042) 257-0005 | 팩스 : (042) 257-0518 | 메일 : daego@daego.kr
Copyright 2001~2024 대전고등학교총동창회. All rights reserved.